1. 서비스 안내 참여방법 안내
  2. 모집 요청 임상시험 식약처 승인 목록
  3. 참여의향서 신청
  4. 공지사항 쉬운 용어 설명 병원 안내 뉴스레터 FAQ
로그인 회원가입
임상시험 정보
식약처 승인 목록
승인완료
간장애가 있는 재발성 또는 불응성 미만성 거대 B 세포 림프종 또는 고등급 B 세포 림프종 환자에서 론카스툭시맙 테시린의 약동학 및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제 1b상 공개 임상시험(LOTIS-10)
임상시험 의뢰자
파머수티컬리서치어소시에이츠코리아
소재지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142 18층
대상질환
Oncology
대상질환명
재발성 또는 불응성 미만성 거대 B 세포 림프종 또는 고등급 B 세포 림프종
임상시험 단계
1b상
임상시험 기간
2023년 03월 ~ 2027년 04월
성별
전체
나이
18세 이상
목표 대상자 수(국내)
56(9)
임상시험 승인일자
2023-09-11
최근 변경일자
2023-09-11
의약품 정보
실시기관 정보
대상자 선정기준
대상자 제외기준
연구설계 및 수행방법
  1. 제품명
    론카스툭시맙 테시린(ADCT-402)
  2. 성분명
    론카스툭시맙 테시린(ADCT-402)
  3. 의약품 제형
    용액용동결건조분말주사제
  4. 의약품 개발사
    ADC Therapeutics
  5. 개발사 국가
    Switzerland(스위스)
  6. 개발지역
    국외개발
  7. 임상시험 국가
    다국가
  8. 국내허가여부
    N
  9. 최초 사람대상
    연구여부
    N
  10. 활성대조약
    여부
    N
  11. 대조약 여부
    N
  12. 대조약 제품명
  13. 위약 여부
    N
  1. 중재군
    배치방법
  2. 중재군 수
    3
  3. 대상자
    배정 방식
    Non-randomized
  4. 눈가림 종류
    Open
  5. 의약품
    투여기간
    년 월 ~ 년 월
  6. 의약품
    투여방법
    시험군: A군: 정상 간 기능

    환자는 2주기 동안 론카스툭시맙 테시린 0.15 mg/kg 용량을 3주에 한 번씩(Q3W), 후속 주기에는 0.075 mg/kg 용량을 Q3W로 투여받는다(1주기 = 21일).
    용량 감량 기준에 부합하는 독성이 발생한 환자는 후속 용량을 50% 감량한다. 독성이 재발하는 경우, 후속 용량을 반드시 추가로 50% 감량해야 한다. 최대 2회의 용량 감량을 허용한다. 제2주기 이후 용량 감량 기준에 부합하는 독성이 발생한 환자는 제3주기 초기 용량의 50%를 임상시험계획서에 명시된 용량으로 투여받는다. 즉, 제3주기에 추가로 용량을 감량하지 않는다.

    시험군: B군: 중등도 간장애

    환자는 표준 3+3 용량 증량 설계에 따라 론카스툭시맙 테시린을 투여받는다. 초기 용량은 2주기 동안 0.09 mg/kg Q3W이고, 후속 주기에는 0.045 mg/kg Q3W이다(1주기 = 21일). 투여 가능한 최고 농도는 0.15 mg/kg Q3W이다.
    용량 감량 기준에 부합하는 독성이 발생한 환자는 후속 용량을 50% 감량한다. 독성이 재발하는 경우, 후속 용량을 반드시 추가로 50% 감량해야 한다. 최대 2회의 용량 감량을 허용한다. 제2주기 이후 용량 감량 기준에 부합하는 독성이 발생한 환자는 제3주기 초기 용량의 50%를 임상시험계획서에 명시된 용량으로 투여받는다. 즉, 제3주기에 추가로 용량을 감량하지 않는다.

    시험군: C군: 중증 간장애

    환자는 표준 3+3 용량 증량 설계에 따라 론카스툭시맙 테시린을 투여받는다. 초기 용량은 2주기 동안 0.09 mg/kg Q3W이고, 후속 주기에는 0.045 mg/kg Q3W이다(1주기 = 21일). 투여 가능한 최고 농도는 0.15 mg/kg Q3W이다.
    용량 감량 기준에 부합하는 독성이 발생한 환자는 후속 용량을 50% 감량한다. 독성이 재발하는 경우, 후속 용량을 반드시 추가로 50% 감량해야 한다. 최대 2회의 용량 감량을 허용한다. 제2주기 이후 용량 감량 기준에 부합하는 독성이 발생한 환자는 제3주기 초기 용량의 50%를 임상시험계획서에 명시된 용량으로 투여받는다. 즉, 제3주기에 추가로 용량을 감량하지 않는다.

  7. 1차 유효성
    평가변수
    용량제한독성(DLT)을 경험한 중등도 및 중증 간장애가 있는 환자 수[시간 범위: 제1주기 제1일~제21일, 한 주기는 21일]
  8. 2차 유효성
    평가변수
    1. 혈청 내 론카스툭시맙 테시린 및 SG3199의 최대 농도(Cmax)[시간 범위: 제1일~최대 1년]
    2. 혈청 내 론카스툭시맙 테시린 및 SG3199의 Cmax까지의 시간(Tmax)[시간 범위: 제1일~최대 1년]
    3. 혈청 내 론카스툭시맙 테시린 및 SG3199의 0시간부터 마지막 정량 가능 농도까지 농도-시간 곡선하면적(AUClast)[시간 범위: 제1일~최대 1년]
    4. 혈청 내 론카스툭시맙 테시린 및 SG3199의 0시간부터 투여 간격 종료까지 농도-시간 곡선하면적(AUCtau)[시간 범위: 제1일~최대 1년]
    5. 혈청 내 론카스툭시맙 테시린 및 SG3199의 0시간부터 무한대까지 농도-시간 곡선하면적(AUCinf)[시간 범위: 제1일~최대 1년]
    6. 혈청 내 론카스툭시맙 테시린 및 SG3199의 겉보기 최종 소실 반감기(Thalf)[시간 범위: 제1일~최대 1년]
    7. 혈청 내 론카스툭시맙 테시린 및 SG3199의 겉보기 청소율(CL)[시간 범위: 제1일~최대 1년]
    8. 혈청 내 론카스툭시맙 테시린 및 SG3199의 겉보기 항정 상태 분포 용적(Vss)[시간 범위: 제1일~최대 1년]
    9. 혈청 내 론카스툭시맙 테시린 및 SG3199의 축적 지수(AI)[시간 범위: 제1일~최대 1년]
    10. 이상반응(AE)을 경험한 환자 수[시간 범위: 최대 약 3년]
    11. 투여 후 발생 이상반응(TEAE)을 경험한 환자 수[시간 범위: 최대 약 1년]
    12. 투여 지연으로 이어진 이상반응(AE)을 경험한 환자 수[시간 범위: 최대 약 1년]
    13. 투여 일시 중단으로 이어진 이상반응(AE)을 경험한 환자 수[시간 범위: 최대 약 1년]
    14. 용량 감량으로 이어진 이상반응(AE)을 경험한 환자 수[시간 범위: 최대 약 1년]
    15. 안전성 실험실검사 수치에서 베이스라인 대비 임상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경험한 환자 수[시간 범위: 베이스라인~최대 약 1년]
    16. 활력징후에서 베이스라인 대비 임상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경험한 환자 수[시간 범위: 베이스라인~최대 약 1년]
    17. 미국 동부종양학협력그룹(ECOG) 활동도에서 베이스라인 대비 임상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경험한 환자 수[시간 범위: 베이스라인~최대 약 1년]
    18. 12유도 심전도(ECG) 측정에서 베이스라인 대비 임상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경험한 환자 수[시간 범위: 베이스라인~최대 약 1년]
    19. 전체 반응률(ORR)[시간 범위: 최대 약 3년]
    20. 반응 지속기간(DOR)[시간 범위: 최대 약 3년]
    21. 완전반응(CR)률[시간 범위: 최대 약 3년]
    22. 무진행 생존기간(PFS)[시간 범위: 최대 약 3년]
    23. 무재발 생존기간(PFS)[시간 범위: 최대 약 3년]
    24. 전체 생존기간(OS)[시간 범위: 최대 약 3년]
    25. 론카스툭시맙 테시린에 대한 항약물 항체(ADA) 역가가 있는 환자 수[시간 범위: 제1일~최대 1년]
  9. 최초 임상
    시험자 선정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