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비스 안내 참여방법 안내
  2. 모집 요청 임상시험 식약처 승인 목록
  3. 참여의향서 신청
  4. 공지사항 쉬운 용어 설명 병원 안내 뉴스레터 FAQ
로그인 회원가입
임상시험 정보
식약처 승인 목록
승인완료
재발성 또는 불응성 다발성 골수종(RRMM) 시험대상자를 대상으로 CC-92480 (BMS-986348), 카르필조밉 및 덱사메타손(480Kd)과 카르필조밉 및 덱사메타손(Kd)을 비교하는 제3상, 2단계, 무작위배정, 다기관, 공개 임상시험
임상시험 의뢰자
세엘진(유)
소재지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504 11층 (대치동, 해성1빌딩)
대상질환
Hematology
대상질환명
재발성 또는 불응성 다발성 골수종(RRMM)
임상시험 단계
3상
임상시험 기간
2023년 09월 ~ 2030년 06월
성별
전체
나이
18세 이상
목표 대상자 수(국내)
690(50)
임상시험 승인일자
2023-09-11
최근 변경일자
2023-09-11
의약품 정보
실시기관 정보
대상자 선정기준
대상자 제외기준
연구설계 및 수행방법
  1. 제품명
    CC-92480
  2. 성분명
    CC-92480
  3. 의약품 제형
    캡슐
  4. 의약품 개발사
    Celgene Corporation
  5. 개발사 국가
    United States of America(미국)
  6. 개발지역
    국외개발
  7. 임상시험 국가
    다국가
  8. 국내허가여부
    N
  9. 최초 사람대상
    연구여부
    N
  10. 활성대조약
    여부
    N
  11. 대조약 여부
    N
  12. 대조약 제품명
  13. 위약 여부
    N
  1. 중재군
    배치방법
  2. 중재군 수
    4
  3. 대상자
    배정 방식
    Randomized
  4. 눈가림 종류
    Open
  5. 의약품
    투여기간
    년 월 ~ 년 월
  6. 의약품
    투여방법
    1.CC-92480 용량 투여
    CC-92480으로 시험 중재를 투여하는 첫 날은 주기의 제1일로 간주된다. CC-92480 캡슐은 음식 섭취와 무관하게 경구로 투여한다. 1단계 치료군 A1, A2 및 A3의 시험대상자는 각 28일 주기의 제1일부터 제21일까지 각각 1-mg, 0.6-mg 또는 0.3-mg의 CC-92480을 경구 투여할 것이다. 2단계 치료군 A의 시험대상자는 각 28일 주기의 제1일부터 제21일까지 1단계에서 선택된 용량의 CC-92480을 투여할 것이다. 자세한 지침은 약국 매뉴얼을 참조한다.

    2.카르필조밉 용량 투여
    정맥 카르필조밉은 제1주기의 제1일에 20 mg/m2으로 투여하고, 내약성이 있는 경우 후속 용량은 제8일과 15일에 56 mg/m2으로 투여한다. 제2~12주기에는 제1, 8 및 15일에 카르필조밉 56 mg/m2를 투여한다. 제13주기 이후에는 제1일과 15일에 카르필조밉을 투여한다. 투여 일정은 표 7.2.1.2-1을 참조한다.
    카르필조밉의 시작 용량은 베이스라인 실험실 평가로 정의된 경증 간 장애가 있는 시험대상자의 경우 현지 키프롤리스® 라벨에 따라 25% (즉, 제1주기 제1일에 15 mg/m2, 그 후 42 mg/m2) 줄일 수 있다:
    -총 빌리루빈 1 ~ 1.5× 정상 상한(ULN), 또는
    -총 빌리루빈 ≤ ULN 및 AST > ULN 및 ≤ 2.5 ULN.
    카르필조밉은 이전에 카르필조밉을 주입한 후 5일 이내에 투여해서는 안 된다.

    3.덱사메타손 용량 투여
    덱사메타손은 각 28일 주기의 제1, 8, 15 및 22일에 투여한다. 덱사메타손의 투여 용량은 만75세 이하 시험대상자의 경우 40 mg/day, 또는 만75세가 넘거나 저체중이거나(체질량지수[BMI] < 18.5 kg/m2) 잘 조절되지 않는 당뇨병이 있거나 이전에 스테로이드 치료에 내약성이 없었던 시험대상자의 경우 20 mg/day를 투여할 수 있다.
    카르필조밉과 같은 날 덱사메타손을 투여하는 날에는 덱사메타손의 권장용량으로 전처치한다. 주입 관련 반응의 발생률과 중증도를 줄이기 위해 제1주기 동안 카르필조밉의 모든 투여 전 최소 30분에서 최대 4시간 전에 덱사메타손을 경구 또는 정맥 내로 투여한다. 후속 주기 동안 이러한 증상이 발생하면 덱사메타손 전처치를 재개한다.
    전체 투여 일정은 표 7.2.1.2-1을 참조한다

    4.1단계와 2단계에 대한 카르필조밉 용량 계산
    카르필조밉 용량은 베이스라인 시 시험대상자의 실제 BSA를 사용하여 계산할 것이다. BSA > 2.2 m2인 시험대상자는 2.2 m2 BSA를 기준으로 용량을 투여받을 것이다. 체중 증가/감소가 ≤ 20%인 경우 용량을 조절할 필요가 없다. 카르필조밉 용량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BSA를 수집할 것이다. 현지 약국 표준작업지침서(SOP)에서 현재 치료 주기의 제1일에 얻은 시험대상자의 체중을 사용하도록 요구하는 경우, 이는 의사가 시험대상자의 체중에 임상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있어 카르필조밉 총 용량을 변경해야 한다고 판단하지 않는 한 허용된다.

    5.카르필조밉에 대한 전처치 및 수분공급
    단독요법 또는 병용요법의 일부로 덱사메타손을 투여할 경우 덱사메타손의 권장용량으로 전처치한다. 주입 관련 반응의 발생률과 중증도를 줄이기 위해 제1주기 동안 카르필조밉의 모든 투여 전 최소 30분에서 최대 4시간 전에 덱사메타손을 경구 또는 정맥 내로 투여한다. 후속 주기 동안 이러한 증상이 발생하면 덱사메타손 전처치를 재개한다.
    특히 종양 용해 증후군 또는 신독성의 위험이 높은 시험대상자의 경우, 제1주기에 카르필조밉을 투여하기 전에 충분한 수분 공급이 필요하다. 모든 시험대상자는 체액 과부하의 증거에 대해 모니터링해야 하며, 개별 시험대상자의 요구에 맞게 수액 요구량을 조정해야 한다. 베이스라인 심부전이 있거나 심부전 위험이 있는 시험대상자의 경우 임상적 필요에 따라 총 체액량을 조정할 수 있다.
    권장 수분 공급에는 경구 수액(제1주기 제1일 전 48시간 동안 30 mL/kg/day) 및 정맥 수액(제1주기의 각 투여 전에 250 mL ~ 500 mL의 적절한 정맥 수액)이 모두 포함된다. 제1주기에 카르필조밉 투여 후 필요에 따라 250 mL ~ 500 mL의 정맥 수액을 추가로 투여한다(표 2-2 및 표 2-3 참조). 후속 주기에서는 필요에 따라 경구 및/또는 정맥 수분 공급을 계속해야 한다. 투여와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특정 지역/국가에 대한 각각의 최신 USPI, SmPC 또는 이와 동등한 문서에 포함된 카르필조밉의 전체 PI와 라벨을 참조한다.
  7. 1차 유효성
    평가변수
    PFS: 무작위배정부터 다발성 골수종에 대한 국제 골수종 연구회(IMWG) 표준 반응 기준(Uniform Response Criteria)에 따른 질병 진행(PD)의 최초 문서화 또는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 중 먼저 발생한 시점까지의 시간
  8. 2차 유효성
    평가변수
    -총체적인 안전성, 유효성, 약동학(PK) 및 약력학 자료를 기반으로 한 2단계에 대한 CC-92480 권장용량
    -1단계에서, 각 용량 수준에서 카르필조밉 및 덱사메타손과 병용한 CC-92480의 혈장 농도를 측정한다
    -전체 생존(OS): 무작위배정부터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까지의 시간
    -전체 반응률(ORR): 다발성 골수종에 대한 IMWG 표준 반응 기준에 따라 부분 반응(PR) 또는 그 이상의 최상의 반응을 달성한 시험대상자 비율
    -매우 좋은 부분 반응(VGPR) 또는 그 이상(VGPRR)의 비율: 다발성 골수종에 대한 IMWG 표준 반응 기준에 따라 VGPR 또는 그 이상의 최상의 반응을 달성한 시험대상자 비율
    -완전 반응(CR) 또는 그 이상(CRR)의 비율: 다발성 골수종에 대한 IMWG 표준 반응 기준에 따라 CR 또는 그 이상의 최상의 반응을 달성한 시험대상자 비율
    -반응까지의 시간(TTR): 무작위배정부터 반응(PR 또는 그 이상)의 최초 문서화까지의 시간
    -반응 지속 기간(DOR): 반응(PR 또는 그 이상)의 최초 문서화부터 질병 진행(PD)의 최초 문서화 또는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 중 먼저 발생한 시점까지의 시간
    -진행까지의 시간(TTP): 무작위배정부터 PD의 최초 문서화까지의 시간
    -다음 치료까지의 시간(TTNT): 무작위배정부터 다음 항골수종 치료 시작까지의 시간
    -무진행 생존 2 (PFS-2): 무작위배정부터 다음 항골수종 치료 중 질병진행 또는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 중 먼저 발생한 시점까지의 시간
    -CR 또는 그 이상을 달성하고 MRD 음성(최소 민감도가 1/105의 유핵세포로 정의됨)인 시험대상자 비율
    -이상사례(AE)의 유형, 빈도, 중대성, 중증도 및 AE와 시험 치료와의 관련성
    -EORTC QLQ-C30으로 측정한 시험대상자-보고 HRQoL 결과에서 하위척도 점수의 베이스라인 대비 평균 변화
    -EORTC QLQ-MY20으로 측정한 HRQoL 결과 및 다발성 골수종 관련 증상에서 하위척도 점수의 베이스라인 대비 평균 변화
  9. 최초 임상
    시험자 선정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