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첫 투여부터 확인된 질병 진행 또는 사망까지의 시간으로 정의된 PFS
? 진행까지의 시간
? 최초 반응일부터 확인된 질병 진행일까지의 시간으로 정의된 DOR
? 첫 투여부터 최초 반응일까지의 시간으로 정의된 TTR
? 코호트 및 CPI-0209 용량 수준에 따라 가장 우수한 전체 반응으로 CR, PR, 또는 SD를 보인 환자 비율로 정의된 질병 조절률
? GCIG에서 정의한 CA-125 반응 기준에 따른 ORR(난소암 환자)
? 첫 투여부터 사망까지의 시간으로 정의된 전체 생존(OS)
? AE 및 실험실 수치 변화
? PK 및 PD 매개변수
? 코호트 M7에만 해당: ARID1A WT 자궁내막암종 환자에서 HFHC 식이와 함께 및 HFHC 식이 없이 CPI-0209 단독요법 300 mg 용량의 PK 매개변수
1. 코호트 M8 파트 1 이차 평가변수
? 이상사례의 발생률[유형, 중증도(NCI CTCAE 유효 버전에 따른 등급), 시기, 중대성 및 CPI-0209와 엔잘루타마이드 병용 치료와의 연관성에 따라 규명]
? 약동학: 혈장 농도-시간 프로파일과 표준 약동학 매개변수(Cmax, Tmax, AUC0-last, AUC0-inf, t1/2, Cmin을 포함하되 이에 국한되지 않음)
? 베이스라인 대비 약력학적 생체표지자의 변화
? PCWG3을 기준으로 시험자 평가에 따른 객관적 반응
? PCWG3을 기준으로 최초 반응일부터 확인된 질병 진행일까지의 시간으로 정의된 DOR
? PCWG3을 기준으로 CR, PR, 또는 안정 병변(SD)을 보인 환자 비율로 정의된 질병 조절률
? 베이스라인 대비 ≥ 50% 감소로 정의된 PSA50 반응
? 전체 용량 범위에 대한 DLT 확률
2. 코호트 M8 파트 2 이차 평가변수
? 이상사례의 발생률[유형, 중증도(NCI CTCAE 유효 버전에 따른 등급), 시기, 중대성 및 CPI-0209와 엔잘루타마이드 병용 치료와의 연관성에 따라 규명]
? 약동학: 혈장 농도-시간 프로파일과 표준 약동학 매개변수(Cmax, Tmax, AUC0-last, AUC0-inf, t1/2, Cmin을 포함하되 이에 국한되지 않음)
? 베이스라인 대비 약력학적 생체표지자의 변화
? 최초 반응일부터 확인된 질병 진행일까지의 시간으로 정의된 DOR
? PCWG3을 기준으로 평가되고, 첫 투여부터 확인된 질병 진행 또는 사망까지의 시간으로 정의된 무진행생존(PFS)
? PSA 반응이 ≥50%인 환자의 비율
? PSA 진행까지의 시간
? mCRPC 환자에서 첫 투여부터 사망까지의 시간으로 정의된 전체 생존(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