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 한국임상시험참여포털

유틸메뉴
로그인
회원가입

주요메뉴

로그인 회원가입
임상시험 정보

날개배너1

날개배너2

식약처 승인 목록
승인완료
전섬유화/초기 일차성 골수섬유증 또는 DIPSS Plus에 따른 저위험 또는 중간위험-1의 현성 일차성 골수섬유증이 있는 성인 환자에서 로페그인터페론 알파-2b(P1101)의 유효성 및 안전성을 평가하는 무작위배정, 이중 눈가림, 위약 대조, 다기관 제3상 임상시험(HOPE-PMF): 핵심 시험 및 연장 시험
임상시험 의뢰자
노보텍아시아코리아(주)
소재지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124, 20층 (역삼동,삼원타워)
대상질환
Oncology
대상질환명
전섬유화/초기 일차성 골수섬유증 및 DIPSS Plus에 따른 저위험 또는 중간위험-1의 현성 일차성 골수섬유증
임상시험 단계
3상
임상시험 기간
2024년 12월 ~ 2027년 12월
성별
■남 ■여
나이
□18세 미만 ■18세 이상~65세 미만 ■65세 이상
목표 대상자 수(국내)
150(15)
임상시험 승인일자
2025-06-09
최근 변경일자
2025-06-09
의약품 정보
실시기관 정보
대상자 선정기준
대상자 제외기준
연구설계 및 수행방법
  1. 제품명
    로페그인터페론알파-2b주
  2. 성분명
    로페그인터페론알파-2b (P1101)
  3. 의약품 제형
    용액주사제
  4. 의약품 개발사
    PharmaEssentia Corporation
  5. 개발사 국가
    Taiwan(대만)
  6. 개발지역
    국외개발
  7. 임상시험 국가
    다국가
  8. 국내허가여부
    Y
  9. 최초 사람대상
    연구여부
    N
  10. 활성대조약
    여부
    N
  11. 대조약 여부
    N
  12. 대조약 제품명
  13. 위약 여부
    Y
  1. 중재군
    배치방법
  2. 중재군 수
    2
  3. 대상자
    배정 방식
    Randomized
  4. 눈가림 종류
    Double Blind
  5. 의약품
    투여기간
    년 월 ~ 년 월
  6. 의약품
    투여방법
    적합한 시험대상자는 시험에서 이중 눈가림 방식으로 임상시험용 의약품인 로페그인터페론 알파-2b 또는 대조 위약을 투여받도록 2:1 비율로 무작위배정된다.
    로페그인터페론 알파-2b/위약은 500mcg 의 프리필드 시린지로 제공된다. 위약 제형은
    로페그인터페론 알파-2b 제형과 동일하되 활성 제제는 포함하지 않는다. 시험에서
    로페그인터페론 알파-2b 및 위약은 이중 눈가림 방식으로 2 주마다 SC 투여하며, 시작 용량 250mcg(제 0 주), 350mcg(제 2 주) 및 목표 용량 500mcg(제 4 주)로 투여한다. 내약성이 있는 경우, 용량은 그 후 남은 투여 기간 동안(제 80 주까지) 500mcg 으로 고정해야 한다. 이전용량으로의 용량 조절은 안전성 또는 내약성 우려 발생으로 인한 경우에 허용된다(세부 정보는 5.1.6 항 참조).
  7. 1차 유효성
    평가변수
    제 80 주의 임상적으로 관련된 완전 혈액학 반응(CrCHR) 및 제 80 주의 증상 평가변수.
    CrCHR 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혈소판 수 ≤400 × 109/L 및
    ? 백혈구(WBC) ≤10 × 109/L 및
    ? 말초 혈액: 헤모글로빈(Hgb) >10.0g/dL 및
    ? 주요 혈전성 사례의 부재(6.1.1 항에 정의됨) 42 및
    ? 이차 급성 골수성 백혈병(AML)으로의 진행이 없음 증상 평가변수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MFSAF 총 증상 점수(TSS) v4.0 에 기반한 임상 증상의 미진행. 임상 증상의 미진행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베이스라인 TSS 점수가 ?10 인 경우, TSS 점수가 ?10 으로 유지 또는
    - 베이스라인 TSS 점수가 >10 인 경우, TSS 점수가 >50% 증가하지 않음
  8. 2차 유효성
    평가변수
    주요 이차 유효성 평가변수:
    주요 이차 평가변수는 두 공동 일차 평가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경우에만 검정한다. 주요 이차 평가변수에 대한 다중성 조정이 적용된다. 계층적 검정 절차가 아래의 순서로 사용된다.
    1. JAK2V617F 돌연변이의 돌연변이 대립유전자 빈도의 베이스라인부터 제80주까지 변화. 베이스라인 값은 제1일에 가장 근접한 값이다.
    2. 제80주에 촉지성 비장비대가 ≥ 5cm인 시험대상자의 백분율,
    3. CrCHR까지의 시간(일차 평가변수에 정의됨)
    4. 질병 진행까지의 시간(TTP). 질병 진행은 수정된 국제 실무 그룹-골수증식성 신생물 연구 및 치료(IWG-MRT) 2013 기준 또는 다음 혈액학 및/또는 DIPSS Plus 기준에 따라 정의된다.
    ? 베이스라인에 촉지성 비장비대가 없는 경우, 좌늑골연 아래 5cm 이상의 새로운 촉지성 비장비대의 출현 또는
    ? 베이스라인에 촉지성 비장비대가 있는 경우, 베이스라인 대비 >5cm 증가한 촉지성 비장의 비대 또는
    ? 골수 모세포 수 ≥20%로 확인된 백혈병성 변형 또는
    ? 최소 2주 동안 지속되는 ≥1 × 109/L의 절대 모세포 수를 동반한 말초 혈액 모세포 함량 ≥20% 또는
    ? 혈소판 수 >1000 × 109/L(값은 30일 후 확인). 베이스라인 값(즉, 제1일에 가장 근접한 값)이 ?600 × 109/L였거나 베이스라인의 혈소판 수가 >600 × 109/L였던 경우, 진행은 혈소판 수가 ?1500 × 109/L인 때로 정의됨 또는
    ? WBC 수 >15 × 109/L(30일 후에 확인). 베이스라인 값(즉, 제1일에 가장 근접한 값)이 ?10 × 109/L였거나 베이스라인의 WBC 수가 >10 × 109/L였던 경우, 진행은 WBC 수가 베이스라인 값 대비 ?2.0배를 초과하는 때로 정의됨 또는
    ? DIPSS Plus 위험 수준이 중간-2 위험 또는 고위험으로 증가(>4주 동안 확인)

    기타 이차 유효성 평가변수:
    ? 제80주의 혈액학 반응률. 혈액학 반응은 일차 평가변수에 정의되어 있다(혈소판 수 ≤400 × 109/L, WBC ≤10 × 109/L, 및 Hgb >10.0g/dL).
    ? JAK2V617F 돌연변이의 돌연변이 대립유전자 빈도의 베이스라인부터 제16, 28, 40, 56 및 64주까지 변화. 베이스라인 값은 제1일에 가장 근접한 값이다.
    제52 또는 64주에 촉지성 비장비대가 ?5cm인 시험대상자의 백분율.
    ? JAK2V617F 이외의 JAK2 돌연변이(예: 엑손 12), CALR 및 MPL 돌연변이의 돌연변이 대립유전자 빈도의 베이스라인부터 제16, 28, 40, 52, 64 및 80주까지 변화. 베이스라인 값은 제1일에 가장 근접한 값이다. MFSAF v4.0에 따른 PMF 증상 부담의 베이스라인부터 제16, 28, 40, 52, 64 및 80주까지 변화. 베이스라인 값은 제1일에 가장 근접한 값이다.
    ? 무진행 생존(PFS): 질병 진행과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 중 먼저 발생하는 사건까지의 시간으로 정의되는 질병 진행
    ? 무사건 생존(EFS): 사건에는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 주요 혈전성 사례42, 임상적으로 유의한 질병 관련 출혈, AML 또는 진행성 골수섬유증으로의 진행(1개 이상의 IWG 2013 진행 기준 충족으로 정의됨) 및 무진행 생존의 정의에 포함된 사건 중 먼저 발생하는 사건이 포함된다
    ? 제80주의 골수 형태(세포충실성, 적혈구, 골수, 거대핵세포) 및 섬유증(레티큘린 염색 기준) 변화. 스크리닝 전 24주까지의 검체는 베이스라인 검체로 허용된다.
    ? 제80주의 사이토카인 프로파일 변화
    ? 추가 돌연변이(예: TET2, ASXL1, EZH2, IDH1/IDH2, SRSF2, ZRSR2, U2AF1)의 베이스라인부터 제16, 28, 40, 52, 64 및 80주까지 변화. 베이스라인 값은 제1일에 가장 근접한 값이다.
  9. 최초 임상
    시험자 선정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