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 한국임상시험참여포털

유틸메뉴
로그인
회원가입

주요메뉴

로그인 회원가입
임상시험 정보

날개배너1

날개배너2

식약처 승인 목록
승인완료
국소 진행성 절제 불가능 또는 전이성 HER2 과발현 및 PD-L1 TPS <50% 비편평 비소세포폐암이 있는 참여자에서 1차 치료로서 트라스투주맙 데룩스테칸 + 펨브롤리주맙 병용요법 대비 백금 기반 화학요법 + 펨브롤리주맙 병용요법에 대한 제3상, 다기관, 무작위배정, 공개 임상시험(DESTINY-Lung06)
임상시험 의뢰자
한국다이이찌산쿄 주식회사
소재지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5길 26 미래에셋 센터원빌딩 동관 15층
대상질환
Oncology
대상질환명
작용 가능한 유전체 변이(AGAs)가 알려진 바 없는 국소 진행성 절제 불가능 또는 전이성 HER2 과발현, PD-L1 TPS <50% 비편평 NSCLC
임상시험 단계
3상
임상시험 기간
2025년 08월 ~ 2032년 06월
성별
■남 ■여
나이
□18세 미만 ■18세 이상~65세 미만 ■65세 이상
목표 대상자 수(국내)
686(50)
임상시험 승인일자
2025-06-11
최근 변경일자
2025-06-11
의약품 정보
실시기관 정보
대상자 선정기준
대상자 제외기준
연구설계 및 수행방법
  1. 제품명
    트라스투주맙 데룩스테칸(DS-8201a 주사)
  2. 성분명
    DS-8201a
  3. 의약품 제형
    용액용동결건조분말주사제
  4. 의약품 개발사
    Daiichi Sankyo Inc.
  5. 개발사 국가
    United States of America(미국)
  6. 개발지역
    국외개발
  7. 임상시험 국가
    다국가
  8. 국내허가여부
    N
  9. 최초 사람대상
    연구여부
    N
  10. 활성대조약
    여부
    Y
  11. 대조약 여부
    Y
  12. 대조약 제품명
    Pembrolizumab,Pemetrexed,Cisplatin,Carboplatin
  13. 위약 여부
    N
  1. 중재군
    배치방법
  2. 중재군 수
    2
  3. 대상자
    배정 방식
    Randomized
  4. 눈가림 종류
    Open
  5. 의약품
    투여기간
    년 월 ~ 년 월
  6. 의약품
    투여방법
    A군
    -트라스투주맙 데룩스테칸은 정맥 내(IV) 주입으로 매 3주마다 한 번(Q3W) 5.4 mg/kg의 용량으로 투여된다.
    - 펨브롤리주맙은 정맥 내(IV) 주입으로 매 3주마다 한 번(Q3W) 200 mg 용량으로 투여된다.

    B군
    - 펨브롤리주맙은 정맥 내(IV) 주입으로 매 3주마다 한 번(Q3W) 200 mg 용량으로 투여된다.
    - 페메트렉시드는 정맥 내(IV) 주입으로 매 3주마다 한 번(Q3W) 500 mg/m² 용량으로 투여된다.
    - 화학요법: 다음 두 가지 중 하나가 투여된다.
    1) 시스플라틴은 정맥 내(IV) 주입으로 75 mg/m² 용량으로 투여된다.
    2) 카보플라틴 AUC는 정맥 내(IV) 주입으로 5 mg/mL/min 용량으로 투여된다.
  7. 1차 유효성
    평가변수
    무진행 생존(PFS)
    무작위배정일부터 방사선학적 질병 진행일 또는 모든 원인으로 인한 사망일까지의 시간 간격으로 정의된다.
  8. 2차 유효성
    평가변수
    주요 이차
    전체 생존(OS): 무작위배정일부터 모든 원인으로 인한 사망일까지의 시간 간격으로 정의된다.

    기타 이차
    - 무진행 생존(PFS): 무작위배정일부터 방사선학적 질병 진행일 또는 모든 원인으로 인한 사망일까지의 시간 간격으로 정의된다.
    - 전체 반응률(ORR): RECIST v1.1 기준에 따라 확인된 완전 반응(CR) 또는 확인된 부분 반응(PR)의 최우수 전체 반응(BOR)을 보이는 참여자의 비율로 정의된다.
    - 반응 지속기간(DoR): 확인된 CR 또는 확인된 PR이 발생한 반응자 중 객관적 종양 반응이 최초로 문서화된 날부터 객관적 종양 진행이 최초로 문서화된 날 또는 모든 원인으로 인한 사망일 중 먼저 발생하는 시점까지의 시간으로 정의된다.
    - 치료 후 발생한 이상사례(TEAEs), 중대한 이상사례(SAEs), 중단과 관련된 TEAEs, 사망 결과 수반 TEAEs 및 특별 관심대상 이상사례(AESIs)의 발생률. 기타 안전성 평가변수에는 활력징후, 임상 실험실 결과, 심전도(ECGs) 및 심초음파(ECHO)/다중게이트획득방식 스캔(MUGA)의 베이스라인 대비 변화가 포함된다.
    - 다음 척도에서 악화 확인까지의 시간(TTD) 및 베이스라인 대비 변화:
    ? EORTC-QLQ-LC13 척도: 기침, 흉통 및 호흡곤란.
    - 다음 척도에서 TTD 및 베이스라인 대비 변화:
    ? EORTC-QLQ-C30 척도: 전반적 건강 상태(GHS)/전반적 삶의 질(QoL)/신체 기능.
  9. 최초 임상
    시험자 선정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