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 한국임상시험참여포털

유틸메뉴
로그인
회원가입

주요메뉴

로그인 회원가입
임상시험 정보

날개배너1

날개배너2

식약처 승인 목록
승인완료
원인 불명의 만성 소양증(CPUO)이 있는 성인 시험대상자에서 두필루맙의 유효성 및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2건의 무작위 배정, 이중 눈가림, 위약 대조, 다기관, 평행군 임상시험의 마스터 임상시험 계획서
임상시험 의뢰자
사노피-아벤티스 코리아
소재지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대로 235
대상질환
Dermatology
대상질환명
원인불명의 만성 소양증(chronic pruritus of unknown origin)
임상시험 단계
3상
임상시험 기간
2025년 08월 ~ 2027년 08월
성별
■남 ■여
나이
□18세 미만 ■18세 이상~65세 미만 ■65세 이상
목표 대상자 수(국내)
180(5)
임상시험 승인일자
2025-06-23
최근 변경일자
2025-06-23
의약품 정보
실시기관 정보
대상자 선정기준
대상자 제외기준
연구설계 및 수행방법
  1. 제품명
    SAR231893
  2. 성분명
    두필루맙(dupilumab)(REGN668/SAR231893)
  3. 의약품 제형
    용액주사제
  4. 의약품 개발사
    SANOFI/Regeneron
  5. 개발사 국가
  6. 개발지역
    국외개발
  7. 임상시험 국가
    다국가
  8. 국내허가여부
    Y
  9. 최초 사람대상
    연구여부
    N
  10. 활성대조약
    여부
    N
  11. 대조약 여부
    N
  12. 대조약 제품명
  13. 위약 여부
    Y
  1. 중재군
    배치방법
  2. 중재군 수
    2
  3. 대상자
    배정 방식
    Randomized
  4. 눈가림 종류
    Double Blind
  5. 의약품
    투여기간
    년 월 ~ 년 월
  6. 의약품
    투여방법
    1) 임상시험용 의약품
    - 두필루맙
    ? 제형: 두필루맙 300 mg: 사전 충전형 주사기에 담긴 150 mg/mL 두필루맙 용액으로, 2 mL 주사로 300 mg 투여
    ? 투여 경로: 피하(subcutaneous, SC) 주사.
    ? 용량 요법: 제1일에 초기 부하 용량 600 mg(300 mg 주사 2회) 투여 후 2주마다(Q2W) 300 mg 주사 1회
    - 위약
    ? 제형: 두필루맙 300 mg에 상응하는 위약: 2 mL 주사로 위약을 투여하도록 사전 충전형 주사기에 담긴 두필루맙을 제외하고 활성 300 mg 제형과 동일한 제형
    ? 투여 경로: SC 주사.
    ? 용량 요법: 제1일에 상응하는 위약 초기 부하 용량 600 mg(두필루맙 300 mg에 상응하는 위약 주사 2회) 투여 후 2주마다(Q2W) 두필루맙 300 mg에 상응하는 위약 주사 1회

    2) 보조 의약품(AxMP)
    - 시험대상자는 준비 기간부터 EOS까지 경구용 비진정성 항히스타민제를 투여받는다(현지 라벨에 승인된 최대 용량에 따라 펙소페나딘 180 mg 또는 120 mg을 1일 1회 투여). 펙소페나딘을 이용할 수 없는 경우 로라타딘 10 mg을 1일 1회 사용한다.

    3) 기타 배경 조치
    - 시험대상자에게 EOS까지 준비 기간 방문을 기준으로 최소 1일 1회 연화제(보습제)를 사용(또는 계속 사용)하도록 교육한다. 연화제(또는 보습제)를 바꾸는 것은 권장되지 않는다.
  7. 1차 유효성
    평가변수
    베이스라인부터 제12주까지 일일 WI-NRS의 주간 평균이 ≥4점 개선된(감소) 시험대상자의 비율
  8. 2차 유효성
    평가변수
    - CPUO 시험대상자에서 추가 가려움 평가변수에 대한 두필루맙의 유효성을 입증한다.
    ? 제24주에 소양증의 PGIS가 “없음” 또는 “경증”으로 평가된 시험대상자의 비율
    ? 제12주에 소양증의 PGIS가 “없음” 또는 “경증”으로 평가된 시험대상자의 비율
    ? 제12주에 일일 WI-NRS 주간 평균의 베이스라인 대비 절대 변화량
    ? 제12주에 일일 WI-NRS 주간 평균의 베이스라인 대비 변화율
    ? 제24주에 일일 WI-NRS 주간 평균의 베이스라인 대비 절대 변화량
    ? 제24주에 일일 WI-NRS 주간 평균의 베이스라인 대비 변화율
    ? 제19주부터 제24주까지 지속된 베이스라인 대비 일일 WI-NRS의 주간 평균이 ≥4점 개선된(감소) 시험대상자의 비율
    ? 베이스라인부터 제24주까지 일일 WI-NRS의 주간 평균이 ≥5점 개선된(감소) 시험대상자의 비율
    ? 베이스라인부터 제24주까지 일일 WI-NRS의 주간 평균이 ≥4 개선된(감소) 시험대상자의 비율 제24주에 일일 WI-NRS의 주간 평균이 <2점인 시험대상자의 비율
    ? 베이스라인부터 제24주까지 WI-NRS ≥4점 감소의 최초 반응까지 걸린 시간
    ? 베이스라인부터 제12주까지 일일 WI-NRS의 주간 평균이 ≥5점 개선된(감소) 시험대상자의 비율
    ? 제12주에 일일 WI-NRS의 주간 평균이 <2점인 시험대상자의 비율


    - 수면, 불안 및 우울증, 건강 관련 삶의 질(HRQoL)의 개선을 입증한다.
    ? 제12주 및 제24주에 일일 가려움 관련 수면 장애 NRSb 주간 평균의 베이스라인 대비 절대 변화량
    ? 제12주 및 제 24에 일일 가려움 관련 수면 장애 NRSb 주간 평균의 베이스라인 대비 변화율
    ? 제12주 및 제24주에 피부과 삶의 질 지수(Dermatology Life Quality Index, DLQI) 점수의 베이스라인 대비 변화
    ? 제12주 및 제24주에 가려움QoL 점수의 베이스라인 대비 변화
    ? 제12주 및 제24주에 병원 불안 및 우울 척도(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HADS) 총점의 베이스라인 대비 변화

    - 안전성 결과 척도를 평가한다.
    : 베이스라인부터 EOS까지 투여 후 발생 이상사례(TEAE) 또는 중대한 이상사례(SAE)를 경험하는 시험대상자의 비율

    - 두필루맙의 면역원성을 평가한다.
    : 두필루맙에 대한 투여 후 발생 항약물 항체(ADA)의 발생률
  9. 최초 임상
    시험자 선정일